전체 글 310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상태 ('생준 실대완') - 하나의 프로세스는 여러가지 이벤트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상태 변화를 겪는다. - 생성, 준비, 실행, 대기, 완료 상태를 가질 수 있다프로세스 상태설명생성(Create) 상태 - 사용자에 의해 프로세스가 생성된 상태준비(Ready) 상태 - CPU를 할당받을 수 있는 상태 - 준비 리스트(Ready List)   :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프로세스가 다음 순서에 CPU를 할당 받음.실행(Running) 상태 -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아, 동작중인 상태대기(Waiting) 상태 - 프로세스 실행 중, 입출력 처리 등으로 인해 CPU를 양도하고,   입출력 처리가 완료까지 대기 리스트에서 기다리는 상태. - 대기 리스트(Waiting List..

프로세스 스케줄링 알고리즘

1) 선점형 스케줄링 알고리즘 유형알고리즘 유형동작 방식특징라운드 로빈(Round Robin) - 프로세스는 같은 크기의 CPU 시간을 할당(시간 할당량) - if 할당된 시간 내에 처리를 완료하지 못하면   준비 큐 리스트의 가장 뒤로 보내짐   CPU는 대기중인 다음 프로세스로 넘어감 - 균등한 CPU 점유시간 - 시분할 시스템 사용SRT(Shortest RemainingTime First) - 가장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프로세스 먼저 수행 - 준비 큐에 남은 처리시간이 더 짧다고 판단되는 프로세스가 생기면, 그 프로세스가 선점! - 짧은 수행시간 프로세스 우선 수행다단계 큐(Multi Level Queue) - 작업들을 여러 종류 그룹으로 분할 - 여러개의 큐 이용하여, 상위단계 작업에 의한 하위단..

가상화의 개념 종류와 기술 요소

가상화(Vertualization) 개념 : 컴퓨터 리소스의 추상화  - 물리적인 리소스들을 사용자에게 하나로 보이게 하거나, 하나의 물리적인 리소스를 여러 개로 보이게 하는 기술 - 대부분의 서버는 용량의 20% 정도만 사용 - 가상화를 통해 서버의 가동률을 60~70% 이상으로 올릴 수 있다.  가상화의 종류   1. 플랫폼 가상화  2. 리소스 가상화 가상화 기술 요소 1) 컴퓨팅 가상화 - 물리적으로 컴퓨터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논리적 단위로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서버 가상화를 통해, 하나의 시스템에서 1개 이상의 운영체제 동시에 가동시킬 수 있음 => 서버 이용률 향상 ex)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2) 스토리지 가상화 - 스토리지와 서버 사이에 소프트웨어/하드..

클라우드 컴퓨팅의 분류 및 유형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 인터넷을 통해 가상화된 컴퓨터 시스템 리소스 제공 클라우드 컴퓨팅 분류 ('사공하')  1. 사설 클라우드  - 기업 또는 조직 내부에서 보유하고 있는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여 내부에 구축되어 운영되는 클라우드 - 자체 컴퓨팅 자원으로 모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수용 - 직접적인 통제 가능 - > 보인성 높일 수 있음  2. 공용 클라우드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다중 사용자를 위해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확장성 유연성 뛰어남  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사설 + 공용 - 사설의 약점인 구축비용문제 해결 / 공용의 약점인 보안성 확보 문제 해결 , 사용업무에 따라 이용 형태 변경 가능 클라우딩 컴퓨터 유형 ISP  1. IaaS - 서버 스토리지 같은 시..

네트워크 장비

1계층 장치  허브 - 여러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로 보내거나 하나의 네트워크로 수신된 정보를 여러대의 컴퓨터로 송신하는 장비  리피터 - 디지털 신호 증폭기 2계층 장치  브리지 - 두개의 근거리 통신망(LAN)을 서로 연결해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  스위치 - 느린 브리지 허브의 단점을 개선한 장치 (2,3,4) 계층에서 쓰이고 L2 L3 L4 로 불린다  출발지에서 들어온 FRAME을 목적지 MAC 주소 기반으로 빠르게 전송시킨다. 3가지 방식중 하나를 사용  1. Store and Fowarding : 데이터를 전부 받은 후 전송 2. Cut Through :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만 확인후 바로 전송 3. Fragment Free : 프레임의 앞 64바이트만 읽어 에러 처리, 목적지 포트로 ..

카테고리 없음 2024.10.15

TCP

TCP 개념  - 전송 제어 프로토콜 ,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핵심 프로토콜 중 하나 - IP와 함께 TCP/IP 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 전송계층(4) 에 위치하면서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트라넷 ,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에 일련의 옥텟을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 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 TCP 특징  1. 신뢰성 보장 - 패킷손실 ,중복 , 순서바뀜 등이 없도록 보장 - TCP 하위 계층인 IP계층의 신뢰성 없는 서비스를 보완하여 신뢰성 제공  2. 연결 지향적 특징 - 연결지향적, 양단간 애플리케이션 / 프로세스는 TCP가 제공하는 연결성회선을 통하여 서로 통신  3. 흐름제어  - 흐름제어 기능을 활용하여 송수신 속도를 일치시킨다.  4. 혼잡제어 - 네트워..

카테고리 없음 2024.10.15

UDP

UDP란? - 비연결성 - 신뢰성 없음 - 순서화되지 않은 데이터그램 서비스 제공 - 전송 계층 (TRANSFER / OSI4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UDP 특징 1. 비신뢰성 - 데이터그램 재향의 전송계층용 프로토콜 (논리적 가상회선 연결 필요 없음) - 메세지가 제대로 도착했는지 확인하지 않음(확인 응답 없음) - 검사 합을 제외한 특별한 오류 검출 및 제어 없음(오류제어 거의 없음)  2. 순서화되지 않은 데이터그램 서비스 제공 - 수신된 메세지의 순서를 맞추지 않음 - 흐름제어를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음  3. 실시간 응용 및 멀티태스킹 가능 - 빠른 요청과 응답이 필요한 실시간 응용에 적합 - 여러 다수 지점에 전송 가능  4. 단순 헤더 - 고정 크기의 8바이트(TCP는 20바이트) 헤더 -..

카테고리 없음 2024.10.15

프로토콜의 개념과 기본 요소

프로토콜 개념   -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표준화된 통신 규약 - 통신을 위해 , 프로토콜이 가져야 할 일반적인 기능  1. 데이터 처리 기능 2. 제어 기능 3. 관리 기능 프로토콜 기본 요소 ('구 의 타 ')  1. 구문 - 시스템간의 정보 전송을 위한 데이터 형식, 코딩, 신호레벨 등의 규정 2.의미 - 시스템 간의 정보 전송을 위한 제어 정보로 조정과 에러 처리를 위한 규정 3.타이밍 - 시스템 간의 정보 전송을 위한 속도 조절과 순서 관리 규정

카테고리 없음 2024.10.15

키워드로 정리하는 이론 3

개발 도구의 구분 : 빌구테형(빌드 / 구현 / 테스트 / 형상 관리 도구)형상 관리의 절차 : 식통감기(형상 식별 / 통제 / 감사 / 기록) 응집도의 유형 : 우논시절 통순기(우연 : 관련없음 / 논리 : 논리적으로 유사기능 관계 는 밀접하지 않음/ 시간 : 특정시간에 실행되는 기능 모음 / 절차 : 요소들이 반드시 특정순서대로 수행 ,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 통신: 동일한 입출력 자료로 다른 기능 수행 / 순차 : 한요소의 출력 자료가 다음 자료의 입력 자료/ 기능 : 모듈내의 모든 요소들이 단일 기능을 수행) 결합도의 유형 : 내공외제스자 ->점점 낮아짐(내용 : 다른모듈 내부 변수 기능을 다른 모듈에서 사용 / 공통 : 파라미터가 아닌 모듈 밖의 전역 변수 참조 , 갱신 등 상호작용/ 외부 :..

카테고리 없음 2024.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