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10

접근 제어 지시자 - 9

💡 학습 목표 접근 제어 지시자란? 접근 제어 지시자에 종류를 알아 보자. 접근 제어자 - 정보 은닉, 캡슐화 객체의 각각의 상태값은 직접 변수를 통해서 변경하는 것이 아닌 기능(행위, 메서드)을 통해서 변경하게 설계 해야 한다. 1. 접근 제어 지시자란? 클래스 외부에서 클래스의 멤버 변수, 메서드, 생성자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정하는 키워드 접근 제어 지시자에 종류를 알아 보자. public —> 어디에서든 접근 가능 함. default —> 같은 패키지 내에서 접근 가능 protected ← 상속 배운 이후 private —> 해당 .java 안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객체지향 패러다임이란 - 8

1. 객체지향 패러다임이란 뭘까? 객체지향 패러다임(Object-Oriented Paradigm)은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론 중 하나로, 실세계의 객체를 모델링하여 소프트웨어의 복잡성을 관리하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 패러다임의 핵심은 프로그램을 상호작용하는 객체들의 집합으로 보고, 각 객체는 자신의 데이터와 행위를 갖는 독립적인 엔티티로 취급하는 것입니다.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주요 원칙 캡슐화(Encapsulation): 객체는 데이터(변수)와 그 데이터를 조작하는 함수(메서드)를 하나로 묶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를 조작하는 방법을 결합하여 데이터의 추상화를 가능하게 하고, 외부에서의 직접적인 접근을 제한합니다. 상속(Inheritance): 하나의..

생성자(constructor) - 7

💡 학습 목표 기본 생성자에 대해 알아보자. 사용자 정의 생성자에 대해 알아보자. 생성자 오버로딩이란 뭘까? 1. 기본 생성자에 대해 알아보자. 생성자(Constructor)는 클래스의 인스턴스, 즉 객체를 생성할 때 호출되는 특별한 유형의 메서드입니다. 객체의 초기화를 담당하며, 객체가 올바르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필요한 값들을 설정하고, 필요한 초기화 코드를 실행합니다. 생성자의 주요 특징 생성자의 이름은 클래스의 이름과 동일해야 합니다. 생성자는 반환 타입을 가지지 않으며, 심지어 void 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객체 생성 시 new 키워드와 함께 자동으로 호출됩니다. 생성자는 기본 생성자와 사용자 정의 생성자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기본 생성자 (default constructor) ● 클래스에는 ..

RunTime Data Area - 6

1.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메모리를 할당 받는다. 2.인스턴스 생성과 힙 메모리 인스턴스 (instance) ● 클래스는 객체의 속성을 정의 하고, 기능을 구현하여 만들어 놓은 코드 상태(설계도면) 입니다. ● 실제 클래스 기반으로 생성된 객체(인스턴스)는 각각 다른 멤버 변수 값을 가지게 됩니다. ● 가령, 학생의 클래스에서 생성된 각각의 인스턴스는 각각 다른 이름, 학번, 학년등의 값을 가지게 됩니다. ● new 키워드와 생성자를 사용하여 인스턴스 생성 힙 메모리 ● 생성된 인스턴스는 동적 메모리(heap memory) 에 할당됨 ● C나 C++ 언어에서는 사용한 동적 메모리를 프로그래머가 해제 시켜야 함 ( free() 난 delete 이용) ● 자바에서 Gabage Collector 가 주기 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