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연구소(AhnLab)에서 분류하는 감염 유형은 매우 다양하며, 각 유형은 고유의 특징과 전파 방식, 피해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는 AhnLab이 분류하는 주요 감염 유형들입니다.
1. **바이러스 (Virus)**
- 바이러스는 실행 파일, 부트 섹터, 문서 등에 감염되어 파일을 손상시키거나 삭제하고,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 감염된 파일이 실행되면 바이러스는 복제되어 다른 파일이나 시스템에 전파됩니다.
- 파일 바이러스, 부트 바이러스, 매크로 바이러스 등으로 나뉩니다.
### 2. **웜 (Worm)**
- 네트워크를 통해 스스로 복제 및 전파하는 악성코드입니다.
- 바이러스와 달리 감염된 파일 없이도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적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 사용자 개입 없이 빠르게 전파되며, 시스템 과부하를 일으키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3. **트로이목마 (Trojan Horse)**
- 유용한 프로그램이나 파일인 것처럼 위장하여 사용자에게 침투하는 악성코드입니다.
- 트로이목마는 자체적으로 퍼지지 않지만, 사용자가 다운로드하거나 실행하면 악성 행위를 수행합니다.
- 백도어 설치, 데이터 유출, 시스템 제어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4. **스파이웨어 (Spyware)**
- 사용자의 동의 없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비밀번호, 신용카드 정보, 이메일 등 민감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외부로 전송합니다.
- 사용자는 스파이웨어의 존재를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 5. **애드웨어 (Adware)**
- 광고를 표시하거나 팝업창을 띄우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은 광고를 지속적으로 노출합니다.
- 때로는 스파이웨어 기능을 포함하여 사용자 행동을 추적하거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 6. **랜섬웨어 (Ransomware)**
- 사용자의 파일을 암호화하거나 시스템 접근을 차단한 뒤, 이를 복구하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코드입니다.
- 감염된 시스템은 중요한 파일에 접근할 수 없게 되며, 해커에게 몸값을 지불해야만 복구할 수 있습니다.
### 7. **백도어 (Backdoor)**
- 공격자가 시스템에 몰래 접근할 수 있도록 비밀 통로를 만드는 악성코드입니다.
- 시스템에 침투한 후 감지되지 않도록 은밀하게 운영되며, 추가 공격을 위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 8. **키로거 (Keylogger)**
-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을 감시하고 기록하는 악성코드입니다.
- 이를 통해 비밀번호, 계좌 정보, 이메일 등의 민감한 데이터를 탈취할 수 있습니다.
### 9. **루트킷 (Rootkit)**
- 시스템에 깊숙이 침투하여 관리자 권한을 탈취한 후, 악성 행위를 숨기기 위한 도구입니다.
- 루트킷은 시스템 파일이나 프로세스를 변조하여 보안 소프트웨어나 운영체제에서 탐지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 10. **피싱 (Phishing)**
- 사용자로부터 민감한 정보를 속여서 탈취하는 방법입니다.
- 이메일, 메시지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개인정보나 금융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합니다.
### 11. **봇넷 (Botnet)**
- 악성코드에 감염된 여러 컴퓨터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공격자의 명령을 따르는 일종의 로봇 네트워크입니다.
- 봇넷은 대규모 DDoS 공격이나 스팸 메일 발송, 불법 행위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12. **익스플로잇 (Exploit)**
- 시스템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하는 악성코드입니다.
- 익스플로잇은 취약한 소프트웨어나 운영체제의 보안 허점을 악용해 악성코드를 실행하거나 시스템을 장악할 수 있습니다.
### 13. **파일리스 악성코드 (Fileless Malware)**
- 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메모리에서 직접 실행되는 악성코드입니다.
- 전통적인 악성코드 탐지 방식으로는 발견하기 어려워 보안 소프트웨어 우회가 가능합니다.
### 14. **다운로더 (Downloader)**
- 다른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일반적으로 트로이목마나 백도어가 사용자의 시스템에 침투한 후 추가적인 악성코드를 설치할 때 사용됩니다.
### 15. **메일웨어 (Mailware)**
- 이메일을 통해 전파되는 악성코드로, 첨부 파일을 열거나 링크를 클릭하면 감염됩니다.
- 피싱 이메일이나 스팸 메일에 자주 포함됩니다.
### 16. **매크로 바이러스 (Macro Virus)**
- 워드, 엑셀 등 오피스 문서의 매크로 기능을 악용하는 바이러스입니다.
- 사용자가 문서를 열 때 자동으로 실행되어 감염을 확산시킵니다.
### 3. **문자열 처리 함수**
- **`strcpy()`**: 문자열을 복사하는 함수.
- **`strcat()`**: 문자열을 이어 붙이는 함수.
- **`strlen()`**: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하는 함수.
- **`strcmp()`**: 두 문자열을 비교하는 함수.
### 4. **메모리 관리 함수**
- **`malloc()`**: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함수.
### 5. **수학 함수**
- **`sqrt()`**: 제곱근을 구하는 함수.
- **`pow()`**: 거듭제곱을 계산하는 함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