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암호 알고리즘 - 양방향 대칭키 방식
암호화 / 복호화 키 서로 동일할 경우, 대칭키 = 양방향 방식
- 블록 암호화 방식
DES(Data Encryption Standard) - 미국 연방 표준국(NIST)에서 발표한 대칭키 기반의 블록 암호화 방식(64bit)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 대칭키 기반 블록 암호화 방식, DES에서 발전(128bit)
SEED - 국내에서 개발한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128bit 비밀키/블록키..128bit 비밀키로부터 생성된 16개의 64비트 라운드 키 사용.
ARIA(Academy, Research, Institute) - 학계, 연구기관, 정부, 국정원과 산학연구협회가 발표한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128bit
IDEA(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 DES 대체, 스위스 연방기술 기관에서 개발한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128bit - 스트림 암호화 방식
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 - 스트림 알고리즘시프트 레지스터, 레지스터 입력값이 이전 상태 값들의 선형 함수로 계산, 비트 바이트 단어들을 순차적으로 암호화
RC4
2. 암호 알고리즘 - 양방향 비대칭키 방식
암호화/복호화 키 서로 다를 경우, 비대칭키 = 단방향 방식
- 디피-헬만(Diffie-Hellman) - 최초의 공개키 알고리즘
- RSA - 소인수 분해 방식, 공개키 알고리즘
- ECC(Elliptic Curve Cryptography) - 이산대수 문제에 근거한 공개키 알고리즘, RSA 암호화에 대한 대안, 속도 및 안정성, 타원 기반
- Elgamal - 공개키 알고리즘, 이산대수 수학, RSA 유사
-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 - 정부용 전자서명 알고리즘, 안전성은 이산대수 문제 어려움에 기반
3. 해시 알고리즘 - 단방향 방식
- MD5(Message Digest Algorithm 5) - 프로그램, 파일의 무결성 검사에 이용, 512bit 입력 메시지 블록에 입력하여 128bit 해시값 생성
- SHA-1(Secure Hash Algorithm) - 미 정부 표준, DSA에서 작동하는 해시 알고리즘, 160bit 해시값 생성
- SHA-256/384/512(Secure Hash Algorithm) - 256bit 해시값 생성, AES 키길에 대응하도록 출력 길이 증대
- HAS-160 - 국내 표준 서명 알고리즘(KCDSA) 개발 해시 함수, MD5/SHA-1의 장점 취함
- HAVAL - 메시지를 1024bit 블록으로 나누고, 128~256bit 해시값 생성
'정보처리기사 -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암기 항목 (1) | 2024.10.16 |
---|---|
DOS 와 DDOS (0) | 2024.10.15 |
OS 메모리 관리 기법 (0) | 2024.10.15 |
프로세스 관리 (0) | 2024.10.15 |
프로세스 스케줄링 알고리즘 (0) | 202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