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대수
관계대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 언어★
관계대수는 릴레이션을 처리하기 위해 연산자와 연산규칙을 제공하며, 피연산자와 연산 결과가 모두 릴레이션임
관계대수는 질의에 대한 해를 구하기 위해 수행해야 될 연산의 순서를 명시함
RDBMS에 적용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한 순수 관계 연산자와 수학적 집합 이론에서 사용하는 일반 집합 연산자가 있음
일반 집합 연산자
일반 집합 연산자는 수학적 집합 이론에서 사용하는 연산자임
일반 집합 연산자 중 합집합(UNION) , 교집합(INTERSECTION), 차집합(DIFFERENCE)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합병 조건을 만족해야 함.
합병 가능한 두 릴레이션 R과 S가 있을 때 각 연산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관계해석(Relational Calculus)
관계해석은 ★관계 데이터의 연산을 표현하는 방법★
관계 데이터 모델의 제안자인 코드(E.F.Codd)가 수학의 Predicate Calculus(술어 해석)에 기반을 두고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위해 제안했음
관계해석은 원하는 정보가 무엇이라는 것만 정의하는 비절차적 특성을 지님
원하는 정보를 정의할 때는 계산 수식을 사용함
'정보처리기사 -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 정규화(Nomalization) (0) | 2024.10.04 |
---|---|
38. 이상/함수적 종속 (0) | 2024.10.04 |
36. 무결성(Integrity) (0) | 2024.10.04 |
35.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제약조건 , 키 (0) | 2024.10.04 |
34.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 관계형 데이터 모델 (0) | 2024.10.04 |